더보기 125 내 인생의 주역 2 기르는 자의 위태로움과 이로움 byMr. MVQPosted on 2020-12-182020-12-29 글쓰기의 정원 리좀125 views0 송형진(감이당 장자스쿨) 山雷 頤 ䷚ 頤, 貞, 吉, 觀頤, 自求口實. 이괘는 바르게 행하면 길하니 사람이 길러내는 것과 스스로 먹을 것을 구하는 방법을 관찰한다. 初九, 舍爾靈龜, 觀我, 朶頤, 凶. 초구효, 너(초구… 더보기 Share
더보기 127 다른 성욕의 탄생 때로는 기대면 나오는 길 (1) byMr. MVQPosted on 2020-12-152020-12-25 청공 프로젝트 청년 클래식127 views2 4장 사랑하라, 흐르게 함으로써 -1) 김석영 (남산강학원 청년스폐셜) 성숙하고 합리적인 개인들의 연애 내게는 늘 마음 한편에 멋진 연애를 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다. 그 ‘멋짐’에는 그러한 희망 사항을 품은 수많은 사람… 더보기 Share
더보기 153 하필왈맹자 좌충우돌 ‘호연지기(浩然之氣)’ 읽기 (1) byMr. MVQPosted on 2020-12-142020-12-22 에세이 하라! 청공 프로젝트153 views2 양문영(남산강학원 동고동락) 말로는 표현하기 어렵다. 호연지기는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한 기다. 일상을 올바로 살면 길러지는데, 올바름을 해치지 않으면 호연지기가 하늘과 땅 사이를 꽉 채울 수 있다. 그것은 마음이 의와 짝하고… 더보기 Share
더보기 172 니체 사용 설명서 삶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을 찾아서 byMr. MVQPosted on 2020-12-162020-12-29 글쓰기의 정원 리좀172 views0 안 상 헌(감이당 금요대중지성) 니체는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면서 이전의 사상들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각을 세운다. 하나는 중세의 암울한 터널로 표현되기도 하는 ‘신’, 다른 하나는 플라톤에서 시작된 ‘이데아’ 혹은 ‘이성’… 더보기 Share
더보기 160 유쾌한 클래식 4. 데카당 – 인생 별 거 없어, 즐겨 (4) byMr. MVQPosted on 2020-12-132020-12-25 글쓰기의 정원 리좀160 views1 2부 약자가 살아가는 법 – 3) 근영(남산강학원) # 삶의 무정부주의 물론 데카당스에게도 부정과 파괴에 대한 그들만의 명분은 있다. 그것은 모두 자유를 위해서라는. 그들은 항변한다. 전통이든 도덕이든, 이렇게 해야만 한다, 저렇게… 더보기 Share
더보기 184 내 인생의 주역 2 지림(至臨)의 마음을 훈련하는 밥당번 byMr. MVQPosted on 2020-12-112020-12-20 글쓰기의 정원 리좀184 views1 이윤지 (감이당 금요대중지성) 地澤 臨 ䷒ 臨 元亨 利貞. 至于八月 有凶. 림괘는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하면 이롭다. 여덟 달이 지나면 흉함이 있다. 初九 咸臨 貞 吉. 초구효, 감응하여 육사에… 더보기 Share
더보기 147 주역을 만나다 학생회장의 ‘素履(소리)’ 하기 byMr. MVQPosted on 2020-12-092021-01-07 청공 프로젝트 청년 클래식147 views0 김지형(감이당 주역스쿨 토요반) 天澤 履 ䷉ 初九. 素履 往 无咎 초구효는 평소의 도의에 따라 밟아 나아가면 허물이 없다. 리 괘는 예의 실천, 본분의 이행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하늘을 뜻하는 건괘가… 더보기 Share
더보기 191 포스트 코로나와 페스트 팬데믹을 통과하는 마음의 행로 (1) byMr. MVQPosted on 2020-12-102020-12-20 글쓰기의 정원 리좀191 views1 복희씨 (감이당 금요대중지성) 서울 멈춤! 최근 들어 신규 확진자가 3~4백을 넘어 6백 명에 육박하자 서울시에서 벌이고 있는 방역 캠페인이다. 시는 오늘부터 3주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에서 2.5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올… 더보기 Share
더보기 149 생생(生生) 동의보감 옥지(玉池)에서 나는 변소 냄새 byMr. MVQPosted on 2020-12-082020-12-17 글쓰기의 정원 씨앗들149 views0 박정복 어떤 사람이 구취가 심한 병을 앓았는데 마치 변소에 간 것 같아 친척들 조차도 마주보고 말하려 하지 않았다. 이에 대인(戴人)이 말하기를 “폐금(肺金)은 원래 비린내를 주관하는데 지금 폐금이 화(火)의 억제를 받고… 더보기 Share
더보기 190 유식(唯識)으로 보는 세상이야기 표층의식, 세상을 구성(構成)하다 (2) byMr. MVQPosted on 2020-12-072020-12-17 불교와 멘토링190 views1 장현숙(감이당 금요대중지성) 알고자 하는 욕망이 다르다는 것 몸을 ‘미추’나 ‘대소’의 외형적인 측면이나 ‘건강’이나 ‘질병’의 생리적 측면으로 보지 않고 ‘알고자 하는 욕망의 뿌리(根)’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본다는 불교적 시각은 신선하다. 이… 더보기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