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보기 155 니체 사용 설명서 동정, 약자들의 힘자랑 byMr. MVQPosted on 2021-01-202021-01-30 글쓰기의 정원 리좀155 views0 안 상 헌(감이당 금요대중지성) 고통보다 강한 동정 당사자는 견딜만한 현실일 뿐인데, 주변에서 난리인 경우들이 많다. 우리 사회에서는 대학 진학과 결혼 등이 대표적이다. 자기 능력과 진로를 고려해 대학을 가서 공부하면 되는… 더보기 Share
더보기 174 내 인생의 주역 2 천둥 속에서 웃는 법 byMr. MVQPosted on 2021-01-152021-01-28 글쓰기의 정원 리좀174 views2 이경아 (감이당 금요대중지성) 重雷 震 ䷲ 震, 亨. 震來虩虩, 笑言啞啞. 震驚百里, 不喪匕鬯 진괘는 형통하다. 우레가 진동할 때 돌아보고 두려워하면 훗날에 웃고 말하며 즐거워할 때가 있으리라. 우레가 진동하여 백 리를 놀라게… 더보기 Share
더보기 226 내 인생의 주역 2 연애의 쓴 맛, 건너뛰지 말자 byMr. MVQPosted on 2021-01-082021-01-28 글쓰기의 정원 리좀226 views2 김희진(감이당 금요대중지성) 澤山 咸 ䷞ 咸, 亨, 利貞, 取女吉. 함괘는 형통하니 올바름을 지키는 것이 이롭고, 여자에게 장가들면 길하다. 初六, 咸其拇. 초육효, 엄지발가락에서 감응한다. 六二, 咸其腓, 凶, 居吉. 육이효, 장딴지에서 감응하면… 더보기 Share
더보기 151 니체 사용 설명서 ‘불가피함’, 삶에 눈뜨게 하다! byMr. MVQPosted on 2021-01-062021-01-21 글쓰기의 정원 리좀151 views0 안 상 헌(감이당 금요대중지성) 신과의 결별을 선언한 니체! 삶은 형이상학적 희망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님을 깨달은 니체! 그는 이제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철학’을 시작한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은 니체의 중기 저작을 대표하면서… 더보기 Share
더보기 158 내 인생의 주역 2 나의 ‘기쁜’ 여드름 분투기 byMr. MVQPosted on 2021-01-012021-01-21 글쓰기의 정원 리좀158 views0 오찬영(감이당 장자스쿨) 雷地 豫 ䷏ 豫, 利建侯行師. 예괘는 제후를 세우고 군사를 움직이는 것이 이롭다. 初六, 鳴豫, 凶. 초육표, 기쁨을 드러내어 울리니 흉하다. 六二, 介于石, 不終日, 貞吉. 육이효, 절개가 돌과 같이… 더보기 Share
더보기 143 유쾌한 클래식 4. 데카당 – 인생 별 거 없어, 즐겨 (5) byMr. MVQPosted on 2020-12-282021-01-12 글쓰기의 정원 리좀143 views0 2부 약자가 살아가는 법 – 3) 근영(남산강학원) # 퇴폐적 쾌락, 자기파괴적 삶 그런데 여전히 이상하다. 여기까지 왔지만, 데카당스에 담긴 두 모습, 쇠락한 생명력과 퇴폐적 취향의 조합이 영 어울리지 않게 느껴지기… 더보기 Share
더보기 150 내 인생의 주역 2 ‘공부’는 사냥하는 것처럼 byMr. MVQPosted on 2020-12-252021-01-12 글쓰기의 정원 리좀150 views1 성승현(감이당 금요대중지성) 重風 巽 ䷸ 巽 小亨 利有攸往 利見大人. 손괘는 조금 형통할 수 있으니 나아갈 바를 두는 것이 이롭고, 대인을 만나는 것이 이롭다. 初六 進退 利武人之貞. 초육효, 나아갔다가 물러나니, 무인의… 더보기 Share
더보기 124 포스트 코로나와 페스트 팬데믹을 통과하는 마음의 행로 (2) byMr. MVQPosted on 2020-12-242021-01-12 글쓰기의 정원 리좀124 views0 복희씨 (감이당 금요대중지성) 팬데믹의 늪 전에는 생이별 상태에 있는 사람들이 실제로 불행하지는 않았다. 그들의 고통 속에는 이제 방금 꺼져버린, 어떤 섬광 같은 것이 담겨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제는 (…) 평온하고도… 더보기 Share
더보기 156 내 인생의 주역 2 기르는 자의 위태로움과 이로움 byMr. MVQPosted on 2020-12-182020-12-29 글쓰기의 정원 리좀156 views0 송형진(감이당 장자스쿨) 山雷 頤 ䷚ 頤, 貞, 吉, 觀頤, 自求口實. 이괘는 바르게 행하면 길하니 사람이 길러내는 것과 스스로 먹을 것을 구하는 방법을 관찰한다. 初九, 舍爾靈龜, 觀我, 朶頤, 凶. 초구효, 너(초구… 더보기 Share
더보기 229 니체 사용 설명서 삶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을 찾아서 byMr. MVQPosted on 2020-12-162020-12-29 글쓰기의 정원 리좀229 views0 안 상 헌(감이당 금요대중지성) 니체는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면서 이전의 사상들에 대해 두 가지 측면에서 각을 세운다. 하나는 중세의 암울한 터널로 표현되기도 하는 ‘신’, 다른 하나는 플라톤에서 시작된 ‘이데아’ 혹은 ‘이성’… 더보기 Share